공데셍의 전공 지식 저장소

수학/미분적분학 (Stewart Calculus)

5. 함수의 기울기와 미분계수 (Slope and Derivative of a function)

Ball Dessin 2021. 1. 6. 03:26
반응형

 

 

이 그림에서는 \(Q\) 가 \(P\) 의 오른쪽에서 접근하지만 왼쪽에서 접근해도 기울기를 계산하면 같은 결과를 얻는다

곡선 \(C\)\(y = f(x)\) 로 나타내어 진다고 하자.

 

이 곡선위의 점 \(P : (a, f(a))\) 과

첫번째 그림과 같이 곡선위의 \(P\) 가 아닌 또 다른 점

\(Q : (x, f(x))\) 를 설정하여 두 점을 이은 선분을 만들자.

 

이 선분의 기울기 \(m_{PQ}\)은 \(\dfrac{f 증가량}{x 증가량} \) 임을 알 수 있고

식으로는 다음과 같이 적는다.

\(m_{PQ} = \dfrac{f(x) - f(a)}{x - a}\) 

 

그리고 두번째 그림처럼 \(x \to a\) 로 만들어 점 \(Q\) 가 점 \(P\) 와 가까워지게 만들 때,

이 선분 \(PQ\)의 기울기는 점 \(P\) 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라고 정의한다.

 

접선의 기울기

\(y = f(x)\) 로 표현되는 곡선 위의 점 \(P : (a, f(a))\) 에서의 접선은
다음 식으로 표현되는 값의 기울기를 갖는다.
$$ \lim_{x \to a} \dfrac{f(x) - f(a)}{x-a}$$

 

\(x\)\(a\)에서 \(h\)만큼 떨어진 점이라고 본다면 

위의 접선의 기울기 정의의 \(x\) 자리에 \(x = a+h\)를 대입하여

접선의 기울기 식의 또 다른 형태로 다음과 같이 쓸 수도 있다.

$$ \lim_{h \to 0} \dfrac{f(a+h) - f(a)}{h}$$

 

 

 

이러한 접선의 기울기는 어떤 의미를 가질까?

 

만약 \(f(x)\) 를 어떠한 물체의 "\(x\) 시간일 때 위치" 라고 정의한다면 

시간 \(x\)가 \(x = a\) 일 때 시작하여 \(h\) 시간만큼 운동했을 때

 

처음의 시간은 \(a\) 이고, \(h\) 시간 이후의 시간은 \(a+h\) 일 것이고

처음의 위치는 \(f(a)\) 이고, \(h\) 시간 이후의 위치는 \( f(a+h) \)일 것이다.

 

그리고 이 물체의 \(x=a\) 일 때의 순간속력을 구하고자 한다면 

1. 함수의 극한 (Limits of functions 에서 보았듯이

\(속력 = \dfrac{거리(위치 차이)}{시간(시간 차이)}\) 이므로 

$$ 순간속력 = \lim_{h \to 0} \dfrac{f(a+h) - f(a)}{(a+h) - a} = \lim_{h \to 0} \dfrac{f(a+h) - f(a)}{h} $$

 

이 식은 위에서 정의한 \(f\)의 접선의 기울기 식이랑 일치한다.

따라서 \(f\) 가 시간 \(x\) 에 따른 위치함수라고 정의되었을 땐 

이 함수의 접선의 기울기는 그 시간에서의 순간속력을 의미하게 된다.

 

또는 만약 함수 \(f\) 가 어떤 세균의 시간에 따른 개체 수라고 설정한다면

이 때 함수 \(f\) 의 접선의 기울기는 세균의 특정한 때의 증식률이라고 볼 수 있다.

 

 


 

 

위에서 보았듯 함수 \(f\) 의 의미를 어떻게 설정하냐에 따라 접선의 기울기는 다양한 의미를 갖고

접선의 기울기를 구하는 계산은 과학이나 공학에서 변화율을 계산할 때 자주 쓰이므로 

"\(x=a\) 에서 \(f\) 의 접선의 기울기"를 \(f\) 의 \(x=a\) 에서의 미분계수 라고 따로 이름을 붙였다.

그리고 간단히 \(f'(a)\) 라고 표현하기로 정의한다.

 

미분계수의 정의

함수 \(f\) 의 \(x=a\) 에서의 미분계수는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.
$$f'(a) = \lim_{x \to a} \dfrac{f(x) - f(a)}{x-a} \text{ 또는 } \lim_{h \to 0} \dfrac{f(a+h) - f(a)}{h}$$

 

 

이제 이 정의에 따라 함수 \(f\) 의 \(x=a\) 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는 간단히 \(f'(a)\) 라고 표현하기로 하자.

일반적으로 점 \((a, f(a))\) 를 지나고 기울기가 \(m\) 인 직선의 방정식이 \(y - f(a) = m(x-a)\) 임이 알려져 있다. 

 

그러므로 \(f\) 의 \(x=a\) 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다음과 같다고 할 수 있다.

\( y-f(a) = f'(a)(x-a) \)

 

 


 

마지막으로 예제를 두 개 남기며 이번 포스팅을 마친다.

 

\(Q1).\) 공을 공기중으로 초기속도 \(10 m/s\) 로 던질 때 \(t\)초 후의 높이 \((m)\)는 

\(y=10t-4.9t^{2}\) 이다. \(t = 2\) 에서의 속도를 구하라.

 

풀이

더보기

 

 

*참고) 초기속도가 \(v_0 (m/s)\)이고 가속도가 \(a (m/s^2)\) 인 물체의 운동방정식은

\(x(t) = v_0t + \dfrac{1}{2}at^2\) 이다. (위치변수를 대표격으로 \(x\)라고 썼지만 꼭 수평방향으로만 적용되는 식은 아니다.)

지구의 중력가속도는 약 \(9.8 (m/s^2)\) 로 알려져 있으므로

초기속도 \(10 (m/s)\)와 아래방향 중력가속도(음수)를 운동방정식에 대입하면 \(y = 10t- 4.9t^2\) 를 얻는다.

유도과정은 일반물리학에서 공부할 수 있다.

 

시간에 대한 높이 함수가 \(y(t) = 10t - 4.9t^2\) 로 주어져 있고,

이 함수의 \(t=2\) 에서의 미분계수를 묻는 문제이다.

미분 계수의 정의에 따라

$$ \begin{align} y'(2) = &\lim_{h \to 0} \dfrac{y(2 + h) - y(2)}{h} \\ =&\lim_{h \to 0} \dfrac{[10\times(2+h) - 4.9\times(2+h)^2] - [10 \times 2 - 4.9 \times 2^2]}{h} \\ = &\lim_{h \to 0} 4.9h - 9.6 \\ =&-9.6 \end{align}$$

 

따라서 \(t = 2(s)\) 에서의 속도는 \(-9.6m/s\) 이다.


\( Q2). y = 4x - x^2\) 의 점 \((1,3)\) 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을 구하시오.

(다항식의 미분 공식을 사용하지 말고 미분 계수의 정의를 이용하라.)

 

풀이

더보기

\(f(x) = 4x - x^2\) 라 하자.

\(x = 1, y = f(1) = 3\) 를 지나는 접선의 방정식은 정의에 의해

\(y - 3 = f'(1)(x-1)\) 이다.

 

$$ \begin{align} f'(1) = \lim_{h \to 0} \dfrac{f(1+h) - f(1)}{h} = &\lim_{h \to 0} \dfrac{[4(1+h) - (1+h)^{2}] - [4 - 1]}{h} \\ = &\lim_{h \to 0} \dfrac{-h^{2} + 2h}{h} \\ = &\lim_{h \to 0} -h + 2 \\ = &2 \end{align}$$

 

이므로 \(f'(1)\) 을 대입하여 정리하면

접선의 방정식은 \( y = 2(x-1) + 3 \) 이다.

 

 

 

이전글 : 4. 함수의 연속과 중간값 정리 (Continuity and Intermediate Value Theorem)

다음글 : 6. 도함수와 미분가능성 (Derivative and Differentiability)

 
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