공데셍의 전공 지식 저장소

수학/미분적분학 (Stewart Calculus)

스칼라장에서의 선적분(Line Integral on Scalar Fields)

Ball Dessin 2023. 10. 7. 16:47
반응형

일변수 함수에서 적분은 정의역이 직선형태였고 이 직선을 따라서 적분을 했었다.

평면 위의 곡선으로 정의된 정의역에 대해서도 구불구불하게 적분을 할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해보자.

 

무슨 말이냐면, 일반적인 적분은 다음 그림과 같은데

 

정의역이 평면 위의 곡선이라면

다음 그림과 같이 적분할 수도 있지 않을까 생각해볼 수 있다는 말이다.

 

 

 

이러한 적분을 선적분(Line Integral) 이라고 부르는데,

(왜 곡선적분이 아니라 선적분인지는 알 수 없다.)

 

선적분을 정의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정의된 곡선 C 를 고려하자.

C:x=x(t),y=y(t),atb

이는 다음과 같은 벡터 함수로 생각할 수 있다.

r(t)=<x(t),y(t)>

이 곡선이 부드러운 곡선이라고 하자.
다시 말 해 r 가 연속이고 r(t)0 인 곡선이라고 하자는 것이다.

(일반적인 수학에서 말하는 smooth curve 랑은 다르다.)

 

일변수 리만 합으로 정의한 적분에서 우리는 적분 구간을 n 등분하고

각 구간위의 임의의 점 xi 을 택하여

이 때의 함수값 f(xi) 이랑 구간의 크기 Δx 를 곱한 것

모든 구간에 대해 합하여 적분을 정의했었다.

 

 

비슷한 방법으로 곡선을 n 등분하고

각 구간위의 임의의 점 xi,yi 를 택하여

이 때의 함수값 f(xi,yi) 이랑 곡선 구간의 크기 Δsi 을 곱한 것을  

모든 구간에 대해 합하면 곡선 위의 적분을 정의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.

 

 

 

매개변수 t 의 구간인 [a,b]n 등분하여

i 번째 구간을 [ti1,ti] 라고 하고 xi=x(ti),yi=y(ti) 라고 하자.

그러면 이에 대응하는 점 (xi,yi) 들은 곡선 C 를 서로 다른 길이로 n 등분한다.

이 크기는 Δs1,Δs2,,Δsn 이라 표현할 수 있다.

또, i 번째 분할된 곡선위의 임의의 점을 택하고 이를 (xi,yi) 라고 하자.

 

이제 f 를 곡선 C 가 포함된 영역 위에서 정의된 이변수 함수라고 하면

리만합을 다음과 같이 적을 수 있다.

i=1nf(xi,yi)Δsi

이제 양변에 n 극한을 씌워주면 일변수 리만적분과 유사하게 선적분을 정의할 수 있다.

 

선적분의 정의 (2차원)

f 가 곡선 C:r(t)=<x(t),y(t)>,atb 위에 정의된 이변수 함수라 하자.
그러면 f 의 곡선 C 위에서의 선적분은 다음과 같다.
Cf(x,y)ds=limni=1nf(xi,yi)Δsi

 

변수 s 에 대한 적분 ds 인 상태로는 적분을 계산하기 어렵다.

왜냐하면, 피적분 함수 fs 에 대한 함수가 아니기 때문에,

굳이 적분을 하자면 fs 에 대한 함수로 변형을 시켜줘야 하기 때문이다.

그래서 대신 매개변수 t 에 대해 적분하는 꼴로 변형시켜주면

f 는 원래 t 에 대한 함수이기도 하므로, 적분을 쉽게 할 수 있게 된다. 

 

곡선의 부분 길이 ds 는 다음과 같이 표현될 수 있었다.

ds=(dxdt)2+(dydt)2dt 

이를 대입하면 정의에 표현된 선적분은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.

Cf(x,y)ds=abf(x(t),y(t))(dxdt)2+(dydt)2dt

이는 t 에 대한 일변수 적분과 같으므로 계산하기가 수월하다.

 

 

 

예제 1

곡선 Cx2+y2=1x 축 위의 반원이라고 할 때
다음 선적분을 계산하라
C2+x2yds
풀이

곡선 C 를 우선 매개변수 방정식 형태로 표현해보자.

r(t)=<cost,sint>,0tπ 이면 적당하다.

(다른 표현 방법이 있다면 다르게 표현해도 상관 없다.)

그러면 x(t)=cost, y(t)=sint 이고 ds

ds=(dxdt)2+(dydt)2dt=(sin2t)+cos2tdt=1dt

이므로 주어진 식은 다음과 같다.

C2+x2yds=0π2+[cost]2[sint]dt

cost=k 라고 치환하여 적분하면 답은 2π+23 이다.

 

 

곡선이 조각적으로 정의되었으면,

각 곡선 조각을 매개변수 방정식으로 표현한 후 구간을 나눠 적분하면 된다.

 

예제 2

곡선 C 는 다음과 같은 조각 곡선 두 개로 이루어져 있다.
곡선1. y=x2,0x1
곡선2. (1,1)(1,2) 를 잇는 선분
이 때 다음 선적분을 구하라
C2xds
풀이

곡선 1은 매개변수 방정식으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.

r(x)=<x,x2>,x[0,1]

편의를 위해 x 대신 t 라고 바꿔 쓰면 다음과 같이 t 에 대한 매개변수 방정식이 된다.

r(t)=<t,t2>t[0,1]

이 곡선에 대한 ds 는 다음과 같다.

ds=(1)2+(2t)2dt=1+4t2dt

x 에 해당하는 값이 t 이고 y 에 해당하는 값이 t2 이므로

이를 모두 대입하면 곡선1 C1 에서의 적분 식은 다음과 같다.

C12xds=012t1+4t2dt

1+4t2=k 라고 치환한 후 적분을 계산하면 결과는 5516 이다.

 

 

 

 

곡선 2는 다음과 같이 매개변수 방정식으로 표현할 수 있다.

r(t)=<1,t>,t[1,2]

이 곡선에 대한 ds 는 다음과 같다.

ds=02+12dt=dt

x 에 해당하는 값이 1 이고 y 에 해당하는 값이 t 이므로

이를 모두 대입하면 곡선2 C2 에서의 적분 식은 다음과 같다.

C22xds=1221dt

계산하면 결과는 2 이다.

 

 

 

따라서 곡선1곡선2 의 결과를 더하여 답은

5516+2

 


 

 

3차원에서의 선적분도 비슷한 방법으로 풀 수 있다.

선적분의 정의 (3차원)

f 가 곡선 C:r(t)=<x(t),y(t),z(t)>,atb 위에 정의된 삼변수 함수라 하자.
그러면 f 의 곡선 C 위에서의 선적분은 다음과 같다.
Cf(x,y,z)ds=limni=1nf(xi,yi,zi)Δsi

 

마찬가지로 3차원상의 부분 곡선의 길이 ds 는 다음과 같으므로

ds=(dxdt)2+(dydt)2+(dzdt)2dt

이를 대입하면 t 에 대한 일변수 적분으로 표현할 수 있게 된다.

Cf(x,y,z)ds=abf(x(t),y(t),z(t))(dxdt)2+(dydt)2+(dzdt)2dt

매번 이렇게 표현하는 것은 거추장스러우므로

다음과 같이 r(t) 를 이용해 표현하는 것이 편하다.

abf(r(t))|r(t)|dt

 

 

예제 3

곡선 Cr(t)=<cost,sint,t>,t[0,2π] 일 때, 다음 선적분을 계산하라
Cysinzds
풀이

주어진 r(t) 에서 ds 는 다음과 같다.

ds=(sint)2+(cost)2+12dt=2dt

x=cost, y=sint, z=t 이므로 이를 대입하면

Cysinzds=02πsintsint2dt

계산하면 결과로 2π 를 얻는다.

 

 

 

반응형